한국과학기술원(KAIST)과 국립중앙과학관은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이용한 전시시스템 개발을 위해 스마트 과학관 전시연구단을 만들었다고 30일 밝혔다.이 연구단은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아 2022년까지 15개 과제를 수행한다. KAIST 등 9개 대학과 전자부품연구원 등 2개 연구기관 등 모두 11개 기관이 참여한다. 전시기반기술·전시 운영기술·전시콘텐츠 등 분야로 나눠 실내 위치 인식 기술, 증강현실(AR)과 가상현실(VR), 사물인터넷(IoT), 인공지능(AI) 등을 전시 체계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.실내 위치 인식 기술의 경우 KAIST가 개발한 실내 위치 인식시스템 ‘KAILOS’(KAIST Indoor Locating System)가 활용될 예정이다. 개발한 전시안내시스템은 국립중앙과학관에 우선 적용하며, 전국 168개 과학관이나 각종 전시물을 안내하는 각 지역 박물관·미술관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.배정희 중앙과학관 전시단장은 “매년 과학관을 찾는 수십만 명의 청소년들에게 과학을 통한 꿈과 영감을 심어주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전시안내도 보다 다양화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조재근 기자 jack333@cctoday.co.kr
http://www.cctoday.co.kr/?mod=news&act=articleView&idxno=1159137